신영복의 나의 동양고전 독법 강의 – 바다를 본 사람은 물을 이야기하기 어려워한다

강의

孟子曰 孔子登東山而小魯 登太山而小天下
故觀於海者 難爲水 遊於聖人之門者 難爲言
觀水有術 必觀其瀾 日月有明 容光必照焉
流水之為物也 不盈科不行
君子之志於道也 不成章不達
-「孟子 – 盡心章句 上」

 맹자가 말하기를, 공자께서 동산에 오르시어 노(魯)나라가 작다고 하시고 태산(太山)에 오르시어 천하가 작다고 하셨다. 바다를 본 적이 있는 사람은 물(水)을 말하기 어려워하고, 성인(聖人)의 문하에서 공부한 사람은 언(言)에 대하여 말하기 어려워하는 법이다. 물을 관찰할 때는 반드시 그 물결을 바라보아야 한다(깊은 물은 높은 물결을, 얕은 물은 낮은 물결을 일으키는 법이다). 일월(日月)의 밝은 빛은 작은 틈새도 남김없이 비추는 법이며, 흐르는 물은 웅덩이를 채우지 않고는 앞으로 나아가지 않는 법이다. 군자는 도에 뜻을 둔 이상 경지에 이르지 않는 한 벼슬에 나아가지 않는 법이다.
-「맹자(孟子) – 진심장구 상(盡心章句 上)」

 이 장의 전체 기조는 아까 말한 것처럼 성찰적이면서도 엄정합니다. 동산(東山)과 태산(太山)에 대해서는 별다른 주석이 없습니다. 상징적 의미로 쓰이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동산과 태산의 예를 들어 맹자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학문을 닦고 품성을 기르는 일의 가 없음(無涯)에 관한 것입니다.

 ’난위수(難爲水)’와 ‘난위언(難爲言)’의 해석에 있어서는 이견이 없지 않습니다. 대부분은 물이기 어렵다, 물이라 여기기 어렵다고 해석합니다. 물론 문법적으로 무리가 없고 그 뜻도 좋습니다. 대해(大海)를 본 사람은 웬만한 물은 바다에 비할 바가 못 되고 따라서 물이라고 하기가 어렵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 바다를 본 사람의 이미지가 상당히 오만하게 느껴집니다.

 이 글에서의 ‘바다’는 큰 깨달음을 뜻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한 것을 깨달은 사람은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함부로 이야기하기가 어려운 법이지요. 더구나 작은 것을 업신여긴다는 것은 깨달은 사람이 취할 태도가 못 되지요. ‘난위언’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경우 언(言)은 단순한 말의 의미가 아니라 학문의 의미로 읽어야 합니다. 성인의 문하에서 공부하여 학문이 무엇인지를 깨달은 사람은 모든 언(言)에 대하여 지극히 겸손한 태도를 가져야 마땅하리라고 생각합니다. 바다를 본 사람이나 성인의 문하에서 공부한 사람은 웬만한 물이나 이론에 대하여 그것을 물이나 이론으로 쳐주기 어렵다고 하는 해석은, 틀린 것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맹자의 뜻을 제대로 전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히려 노자(老子)의 ‘지자불박(知者不博) 박자부지(博者不知)’와 통하는 의미로 읽어야 할 것입니다.

중략

 일월이 모든 틈새를 다 비춘다는 것은 한 점 숨김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지요. ‘불영과불행(不盈科不行)’도 우리가 특히 명심해야 할 좌우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과(科)는 학과(學科)라고 할 때의 그 과입니다. 원래 의미는 ‘구덩이’입니다. 물이 흐르다 구덩이를 만나면 그 구덩이를 다 채운 다음에 앞으로 나아가는 법이지요. 건너뛰는 법이 없습니다. 건너 뛸 수도 없는 것이지요. 첩경(捷徑)에 연연하지 말고 우직하게 정도(正道)를 고집하라는 뜻입니다. 무슨 문제가 발생하고 나면 그제야 “기본을 바로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하고 “원칙에 충실하라”고 주문하기도 합니다. 그 동안 건너뛰었다는 뜻이지요.

 ’불성장부달(不成章不達)’ 역시 ‘불영과불행’과 같은 의미입니다. 장(章)은 수많은 무늬(文)들로 이루어진 한 폭의 비단과 같은 것입니다. 전체를 아우르는 어떤 경지를 의미합니다. 그러한 경지에 이르지 않았으면 치인(治人)의 장(場)으로 나아가면 안 되는 것이지요. 치인은 저 혼자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5장 맹자의 의 中 발췌

원문 출처
돌베개 – 신영복의 나의 동양고전 독법 강의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