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pan, 維新の嵐 ・ 幕末志士伝(유신의 바람 ・ 바쿠마츠지사전) 岩倉具視(이와쿠라 토모미)

번역(翻訳): 방석구

이와쿠라 토모미(岩倉具視)

岩倉具視(いわくら ともみ)
이와쿠라 토모미(岩倉具視)

文政8年, 1825 ~ 明治16年, 1883. 享年59歳.
분세이 8년(文政 8年) ~ 메이지(明治 16年). 향년 59세.

 下級公卿の家に生まれたが、薩摩に接近して倒幕派公卿の領袖となり、朝廷に隠然たる勢力を築く。特に大久保利通と関係が深く、彼ら自身が「絶対に口外できない」と語るようないくつもの謀略を生み出した。
 하급 쿠교(公卿)의 가문에서 태어났지만, 사츠마(薩摩)에 접근해 토바쿠파(倒幕派) 쿠교(公卿)의 영수(領袖)가 되어, 조정(朝廷)에 은연한 세력을 구축한다. 특히 오쿠보 토시미치(大久保利通)와 관계가 깊어져, 그들 자신이 「결단코 발설할 수 없다」라고 말하는 것 같은 수많은 모략을 낳았다.

 華美で惰弱な公家社会の中で、岩倉のような異質な存在が生まれたのも、幕末という激動期ならではの特異性だろう。公卿というイメージはまったくなく、博徒の親玉か人足頭といった気骨と気性を持った人だった。
 화려하고 나약한 쿠교(公卿)사회 속에서, 이와쿠라(岩倉) 같은 이질적 존재가 만들어진 것은, 바쿠마츠(幕末)라는 격동기(激動期)가 아니고는 있을 수 없는 특이성(特異性)일 것이다. 쿠교(公卿)라는 이미지(Image)는 전혀 없고, 노름꾼의 두목이나 노무자의 기골과 기질을 가졌던 사람이었다.

 和宮降嫁を画策して尊攘派の怒りを買うと、早々に頭を丸めて隠棲。公家の特権で幕吏が近寄らないのをいいことに、自宅を近在の博徒に貸して賭場を開き、そのアガリを活動資金にしていたという。これでは博徒の親分そのままだ。また維新後に刺客に襲われた際にも、馬車のドアを蹴飛ばして千代田城(江戸城)の堀に飛び込み、逃げ延びたという行動力の持ち主。大久保などは密かに「公家にしておくには惜しい」と賞賛していた。
 제8황녀(皇女)인 카즈노미야(和宮)의 코우카(降嫁)를 획책하여 손죠파(尊攘派)의 노여움을 사자, 서둘러 머리를 깎고 은거했다. 쿠게(公家)의 특권으로 바쿠리(幕吏)가 접근하지 않는 것을 기화(奇貨)로 자택을 근향(近郷)의 노름꾼에게 빌려주고 도박장을 열어, 그 아가리(アガリ)를 활동자금으로 하고 있었다고 한다. 이렇게 되면 노름꾼의 오야붕(親分) 모습 그대로이다. 또한 유신(維新)후에 자객(刺客)에게 습격 당했던 때에도, 마차의 도어(Door)를 걷어차고 치요다죠(千代田城) – 에도죠(江戸城)의 다른 이름 – 의 해자에 뛰어들어, 생명을 부지했다는 행동력의 소유자. 오쿠보(大久保)등은 은근히 「쿠게(公家)에 두기에는 아깝다」고 칭찬했다.

 バイタリティーだけでなく頭脳も一級品で、特に陰湿な謀略にかけては大久保にも比肩し得るフィクサーだった。本人はいたってあっけらかんとした性格で、公家には珍しいサバサバした人柄だった。
 바이탤리티(Vitality)할 뿐 아니라 두뇌도 일급품으로, 특히 음습한 모략에 관해서는 오쿠보(大久保)에도 비견할 수 있는 픽서(Fixer) – 배후조정자 – 였다. 본인은 매우 구김살 없고 천연덕스런 성격으로, 쿠게(公家)에서는 드물게 시원시원했던 인품이었다.

 維新後には三条実美に次いで明治新政府の重鎮となったが、とにかく目立つキャラクターなので、廃藩置県その他の政策では突き上げの矢面に立たされてしまった。
 유신(維新)후에는 산죠 사네토미(三条実美)에 이어 메이지(明治) 신정부의 중진(重鎮)이 되었지만, 어쨌든 눈에 띄는 캐릭터(Character)였기에, 하이한치켄(廃藩置県) 외의 정책(政策)에서는 압력을 받는 위치에 서게 되었다.

용어 설명
– 쿠교(公卿) くぎょう
중국의 삼공구경(三公九卿)에서 – 「공(公)」과 「경(卿)」의 총칭. 공(公)은 다이조다이진(太政大臣), 사 ・ 우다이진(左 ・ 右大臣), 경(卿)은 다이 ・ 츄나곤(大 ・ 中納言), 3위(三位)이상의 조관(朝官) 및 산기(参議). 칸다치메(上達部). 겟케이(月卿).

– 칸다치메(上達部) かんだちめ
3위(三位) 이상의 사람 및 4위(四位)의 산기(参議).

– 겟케이(月卿) げっけい
천자(天子)를 태양(日)에 신하(臣下)를 달(月)에 비유한 말. 쿠교(公卿)의 다른 이름.

– 토바쿠(倒幕) とうばく
바쿠후(幕府)를 타도하자는 주장.

– 코우카(降嫁) こうか
황녀(皇女) ・ 왕녀(王女)가 신하(臣下)에게 시집감.

– 손죠(尊攘) そんじょう
손노죠이(尊王攘夷)의 다른 말.

– 바쿠리(幕吏) ばくり
바쿠후(幕府)의 관리

원문 출처
유신의 바람 ・ 바쿠마츠지사전(維新の嵐 ・ 幕末志士伝)

사진 출처
근대 일본인의 초상(近代日本人の肖像)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