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포 8년(天保 8年, 1837年) ~ 메이지 24년(明治 24年, 1891年). 향년 55세.
쿠게(公家). 후지와라 북가(藤原北家)의 분가로 셋칸케(摂関家)에 버금가는 세이가케(清華家)의 하나인 산죠케(三条家)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산죠 사네츠무(三条実万), 어머니는 토사(土佐) 야마노우치(山内家) 출신이었다.
와칸가쿠(和漢学) - 일본(日本)과 중국(中国)의 학문 - 의 대가인 동시에 열렬한 손죠(尊攘) 사상가(思想家)였던 토미타 오리베(富田織部)에게 가르침을 받은 것이, 사네토미(実美)의 인생에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산죠 야시키(三条屋敷) - 저택 - 에는 타케치 한페이타(武市半平太)나 카츠라 코고로(桂小五郎), 히라노 쿠니오미(平野国臣)등 다수의 킨노가(勤皇家)가 출입하고 있어, 그들과의 깊은 친교가 급진적인 손죠사상(尊攘思想)과 반바쿠후(反幕府) 정신을 이양시켜, 과격파 쿠교(公卿) ・ 산죠 사네토미(三条実美)를 만들어냈다. 그리고 나서 손죠(尊攘)운동의 조정(朝廷)측 하타가시라(旗頭) - 집단의 장(長) - 로 추대됨에 따라, 사네토미(実美) 자신도 자신의 존재나 활동이 바쿠후(幕府)에 강한 압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인지, 점차 손죠(尊攘)운동에 빠져들고 있었다.
쿠게(公家)중에서는 이와쿠라 토모미(岩倉具視)등과 함께 기개 있는 활동적 인물이었다. 8 ・ 18정변(8 ・ 18の政変)으로 쿄토(京都)에서 쫓겨났음에도, 킨노지사(勤皇志士)들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던 것은 특필할만하다.
그러나, 산죠케(三条家)는 피리의 명류로 알려져 있고, 사네토미(実美) 자신도 본래는 온후한 태도와 풍아(風雅)한 인품이었다. 격동의 시대에 진두에 선 사네토미(実美)였지만, 유신(維新)후 세이칸론(征韓論)을 둘러싸고 사이고 타카모리(西郷隆盛)등과 대립했을 즈음에는, 딜레마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사불성(人事不省)이 되는 등, 실제로는 너무 과민한 신경의 소유자였다. 혹은 유신(維新)까지의 격렬한 토바쿠(倒幕)운동이 사네토미(実美)의 정신을 눈에 띄게 해치고 있었던 것일지도 모른다.
인물 설명
- 산죠 사네츠무(三条実万) さんじょう さねつむ
쿄와 2년(享和 2年, 1802年) ~ 안세이 6년(安政 6年, 1859年).
에도말기(江戸末期)의 쿠게(公家). 나이다이진(内大臣). 조약(条約) 무칙허(無勅許) ・ 쇼군(将軍)의 후계자 문제로 이이 나오스케(井伊直弼)와 대립, 안세이의 대옥(安政の大獄)에 의해 칩거 및 출가.
원문 출처
유신의 바람 ・ 바쿠마츠지사전(維新の嵐 ・ 幕末志士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