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SAN과 NAS의 이해
번역(翻訳): 방석구
SAN과 NAS의 보급
현재 비즈니스회사에서는 폭발적으로 증대되는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SAN (Storage Area Network)」이나「NAS (Network Attached Storage)」를 이용한 정보 시스템이 보급 되고 있습니다. 또한 그 배경에는 니즈(요건의 변화)와 시즈(기술혁신)가 존재합니다.
SAN
SAN이란 Storage Area Network의 약어로 ‘서버’와 ‘스토리지(storage)’ 사이를 연결하는 전용 네트워크입니다. 넓은 의미로는 스토리지(storage) 통합, 이종(異種) 서버간 데이터 공유, 스토리지(storage) 통합관리의 실현에 이르는 넓은 개념입니다. 현재는 파이버 채널(Fibre Channel)를 사용하여, 서버와 스토리지(storage)를 네트워크처럼 연결하는 형태가 실용화 되어있어, 일반적으로는 이것을「SAN」이라고 한다. Block I/O.
SAN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보급되었습니다
• 종래의 SCSI를 훨씬 상회하는 전송속도와 케이블 길이를 가진 파이버 채널(Fibre Channel)의 실용화
• 파이버 채널(Fibre Channel)에서는 종래의 전기 인터페이스 Hard Disk Drive를 광인터페이스 시스템으로 채용
• 실용화 당시에는 단순히 SCSI를 대체하는 Arbitrated Loop 연결이 보급
• Fabric 접속은 고throughput(단위 시간당 처리량)과 고신뢰를 요구하는 대규모 수요자를 중심으로 도입되어, 스위치(switch) 제품의 저가격화에 따라 널리 보급
주(註): Arbitrated Loop는 각 포트를 인접 포트에 연결하고 1개의 루프를 구성하는 형태.
SAN 도입의 이점
• 종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 서버(server) + 스토리지(storage)로 이루어진 조합을 변경 없이 규모, 성능을 향상 시킴
• 이기종 서버들을 스토리지 시스템 공용화 함으로써 스페이스 효율 향상
• Server-free, LAN-free Backup의 실현
• 스토리지 시스템 환경의 통합관리에 의한 TCO(총 소유비용) 삭감
NAS
NAS는 Network Attached Storage의 약어로 LAN(Ethernet, FDDI 등)에 직접 접속된 NFS(Network File System)나 CIFS(Common Internet File System) 파일 시스템에 의하여 접근되는 스토리지(storage)의 총칭입니다. NAS는 네트워크를 사이에 두고 파일을 공유할 수 있는 독립된 파일 서버로서의 기능과, 네트워크 상의 클라이언트에게는 종래의 파일 서버와 동일하게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File I/O.
NAS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보급 되어왔습니다
• 당초, 범용 서버에 NFS 프로토콜을 내장한 파일 서버에 의해서, 다수의 클라이언트에게 파일 공유를 실현
• 독립 하드웨어 + 독립 소프트웨어에 의한 파일 서버 전용 장비로서의 제품화
• 범용 하드웨어 + 독립 소프트웨어에 의한 파일 서버 전용 장비로서의 제품화
• Windows의 CIFS 지원에 의하여 적용 범위의 확대
• 전용 장비 등에서 다루기 용이하며 충실한 기능에 의하여 보다 확대 보급
NAS 도입의 이점
• 이기종 서버나 클라이언트 간에서 동일 파일을 공유
• 장치내의 용량뿐만 아니라, 장치 자체의 증설도 용이
• 접속 인터페이스의 신규 설치가 불필요(단, NAS에 의한 LAN 부하에 대한 예상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