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Social network의 이해.
번역(翻訳): 방석구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는 가치, 구상, 제안, 금전 교환, 친구, 친척, 싫음, 거래, 웹 링크, 성적관계, 질병전염, 항공로와 같은 하나 이상의 관계로 맺어진(개인이나 조직을 가리킨다) 노드(nodes)로 구성된 사회적 구조이다.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 분석(네트워크 이론)은 최근에 사회학이나 인류학, 조직론과 같은 학문분야에서, 인기 있는 추론이며 연구이자, 유용한 방법으로서 대두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그것을 가족에서 국가에 이르는 다양한 수준의 문제에 적용하여, 문제 해결의 단초를 제시하는 중요한 역할로 활용하고, 조직을 운영하고, 어느 정도 개인이 가치추구를 이루었는지, 많은 연구자에 의해 논증되는 것이다.
이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로부터 파생된 분석 개념인 도시 사회학(Urban sociology) 에서는 개인을 중심으로 타인과의 네트워크를 고찰한 Personal Network라는 이론도 존재한다. 또한, 최근 사회학이나 정치학에서는 social capital(사회관계자본)과 연계한 개념으로 파악하기도 한다.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론
개론(概論)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론에서는 노드(nodes)와 타이(ties)이라는 관점에서 사회적 인접성을 고려한다. 노드(nodes)는 네트워크에서 관계를 가진 개개인을 가리키며, 타이(ties)는 관계자간의 연결을 나타낸다. 노드(nodes) 간에서는 생각 가능한 관련성을 다양한 종류의 연결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런 단순한 정의로 본다면, 소셜 네트워크는 가능한 범위의 노드를 적절하게 연결하여 모두 결합한 지도라고 해석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이 네트워크는 관련된 개개인이 가진 사회 자본(Social capital)을 결정 지을 때에도 사용된다. 이 개념은 노드를 점, 타이를 선으로 한 소셜 네트워크 다이어그램(social network diagram)으로 표현된다.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의 모양은 그것의 주체인 개인에게, 그 네트워크의 유용성을 보여주는 열쇠가 된다. 예컨대, 촘촘하게 밀집한 형태의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상에 다수의 공백을 포함하고 있는 구조적 공극(structural holes)이나 주가 되는 네트워크의 외부에 다른 주체자와 완만히 연결된 weak ties(약한 연결) 형태에 비해, 구성원에게 그다지 유용하지 못하다. 보다 개방된 형태의 네트워크는 사회적 공극(空隙)이나 약한 연결을 많이 내포하고 있어, 중복 연결로 밀도가 높은 폐쇄적(閉鎖的)인 네트워크 보다, 더 많은 신규 아이템이나 기회가 제공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이렇다. 단지 무엇인가를 함께하는 친구 집단은 동일한 지식이나 사회를 이미 공유하고 있다. 한편, 다른 사회적 세계와 연결된 개인 집단은 보다 광범위한 정보에 접근할 가능성이 있다. 하나의 네트워크상에서 많은 연결을 가진 것보다, 다양한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쪽이, 개인이 무엇인가를 얻고자 할 때 보다 유용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론의 가치는 주체가 되는 개인의 성질(호의적인가 그렇지 않은가, like인가 dislike인가 등)을 취합하는 전통적인 사회학에 의한 연구와 차이가 있다. 즉, 소셜 네트워크론은 또 다른 시각을 제공한다. 개인의 성질을 그다지 중요시하지 않고,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다른 주체자와의 관계나 연결에 주목한다. 이러한 접근은 복잡한 현실세계의 현상(現象)을 설명하기에 유용하다라는 것이다.
사회과학(社会科学)에서의 응용
사회과학(社会科学) 분야에서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론은 사회관계를 정량 분석할 수 있는 사회측정법(Sociometry)의 시발(始発)이 되었다. 마크 그라노베터(Mark Granovetter)로 대표되는 학자들은 소셜 네트워크론을 확장하여, 오늘날의 사회과학 분야에서 발생하는 여러 현상을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예컨대, 「조직내의 힘」이란, 네트워크(Network)상에 존재하는 개인의 지위에 근거하지 않고, 얼마나 많은 (1)관계의 중심에 있는가에 따라 결정된다라는 사실이 그러하다.
주(注): (1) 허브(Hub)
일반사회에서의 응용
이른바 「(2)150인의 법칙」이란 소셜 네트워크의 구성원은 150명으로 한정되어있다는 것으로, 이 법칙은 타 문화를 다루는 사회학(Sociology)이나 문화인류학(Cultural anthropology)에서 거론하는 촌락의 최대 인원과도 동일하다. 이 수는 평균적인 인간의 능력으로서 집단 구성원임을 인식하고 감정을 파악할 수 있는 일종의 한계라는 것이 발달심리학(Developmental psychology)에 의해서 밝혀졌다. 물론, 집단이 커지면 그에 따라 사기꾼이나 거짓말쟁이가 활개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불로 소득자(free rider)의 활동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주(注): (2) 던바의 수(Dunbar’s number)
주(注): 한국어 Wikipedia의 정보가 미약해서 일본어 Wikipedia의 개념 부분만 어설프게 번역을 해보았습니다.
원문 출처
社会的ネットワーク
참고 자료
Dunbar’s number
던바의 법칙
수정 일자
2010/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