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진중권

진중권의 미학 오디세이 1: 요약 정리

미학 오디세이 1

1. 원시 예술 – 가상과 현실
1.1. 벌거벗은 눈

  • 구석기시대(旧石器時代): ‘개념적 사유’에 간섭을 받지 않고, ‘자연을 보이는 대로’ 그렸다. 자연주의 양식.
  •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 농경 생활의 시작으로 말미암아 개념적(概念的) ・ 추상적(抽象的) 사유에 의존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자연을 ‘아는 대로’ 묘사하게 된다. 기하학적 양식.

1.2. 유희(遊戯), 노동(労働), 주술(呪術)
 인간은 왜 예술을 하게 되었을까?

 유희(遊戯) 기원설은 벽화나 집단무 같은 원시 예술을 ‘잉여 에너지의 방출 통로’로 간주하나, 구석기인의 생활이 남아도는 에너지를 발산하지 못해 안달할 정도로 편안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노동(労働) 기원설은 예술은 노동으로부터 비롯 되었다고 생각한다. 즉, 수렵과 전쟁에서의 승리를 기원하기 위한 수렵무나 전쟁무, 노동의 수고를 덜기 위한 노동요 등이 그것이다. 그렇지만, 벽화를 그리거나 수렵무를 춘다고 해서 사냥이 잘 되는 건 아니었을 것이다.

 주술(呪術) 기원설은 ‘가상’을 통해 ‘현실’의 소망을 이루려는 주술적 신앙 때문이라는 가설이다. 하지만, 무지한 구석기인일지라도 누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주술의 효과를 의심했을 법한데도 왜 주술은 계속 되었을까?

 놀랍게도 주술(呪術)이 실제로 효과가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그들의 주요한 경제 활동이었던 수렵에 필요한 모든 지식, 모든 정신적, 신체적 준비와 훈련이 바로 이 주술이라는 예술 형태 속에 집약되어 있었던 것이다.

1.3. 황금가지
인간들 신을 살해하다
 원시인들은 순조로운 사계절의 운행을 위해 주술(呪術)로 자연 현상을 재현했다. 먼저 자연의 생장력을 상징하는 젊고 건강한 사람을 사제로 선출했다. 그는 왕이자 신의 대리인이었으나, 병들거나 노쇠해지면 자연의 순행을 보장할 수 없었기에 죽임을 당했고, 새로운 신이 그 자리를 대신해야 했다.

비극(悲劇)의 탄생
 사제는 영예로운 자리었으나 언젠가는 죽임을 당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관습은 점차 완화되어갔다. 사제(신)가 젊은 도전자를 상대로 승리하여 강건함을 입증하거나, 그 대신 아들이나 대리인이 죽임을 당하는 방법이 그것 이었다. 또한 참가자들은 신을 죽인 후, 신체를 섭취함으로써 영험을 얻을 수 있다고 믿었기에, 이런 비극적인 상황은 흡사 축제와 같았다. 이후 인간을 대신해 염소, 양, 인형, 신상 등이 그 역할을 대신했다.

1.4. 피그말리온(Pygmaliōn)
예술, 종교, 철학
 선사시대(先史時代)에 주술(呪術)은 예술과 동일시 되었으며, 도덕적 역할도 담당했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주술의 역기능은 극대화 되어갔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주술은 예술 ・ 종교 ・ 철학으로 분화(分化)되었다.

신(주술) ⇒ 승격 ・ 확장 ⇒ ‘종교’
주술 ⇒ 자연과학적 접근 ⇒ ‘철학’
주술 ⇒ 현실과 가상의 분리 ⇒ ‘예술’

아름다운 가상
 ‘주술(呪術)’은 더 이상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가상’이 되어 ‘예술’이 되었다. 이렇게 가치를 잃어버린 예술(가상)에 대하여 플라톤(Platōn)은 부정적 입장을 취했지만, 후세의 철학자들은 이런 ‘가상’을 통하여 ‘진리’에 도달하려고 했다. ‘예술’과 ‘진리’의 연결 이것이 고대부터 현대까지 수많은 미학의 중심 테마이다.

이카루스(Icarus)의 추락

  • 플라톤(Platōn): 예술이 가상을 포기해야 진리에 도달한다 믿었다.
  •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ēs): 예술이 가상을 통하여 진리에 도달한다고 믿었다.

2. 고대 예술과 미학 – 가상의 탄생
2.1. 오시리스(Osiris)의 땅

  • 그리스(Graecia): 축복받은 땅 ⇒ 인간과 자연 사이에 범신론적 친화관계 ⇒ 감정이입 충동 ⇒ 유기적(有機的) ・ 자연주의적 양식 발달
  • 이집트(Egypt): 척박한 땅 ⇒ 황막한 외부세계가 인간에게 내적 불안을 일으킴 ⇒ 추상 충동 ⇒ 추상적 ・ 기하학적 양식 발달

2.2. 고귀한 단숨함과 고요한 위대함
빙켈만의 시대 구분

고대 양식 페이디아스(Pheidias) 이전 – 아르카이크(archaïque) – 엄격함, 딱딱함
숭고 양식 페이디아스(Pheidias)와 동시대 미론, 폴리클레이토스(Polykleitos) 숭고함, 딱딱함
미의 양식 프락시텔레스(Praxiteles), 뤼시포스 아펠레스(Apelles) 우미(優美)
모방 양식 그 뒤 예술의 멸망까지 – 로마(Roma) – 보잘 것 없음

용어 설명
– 고대(古代)
시대구분(時代区分)의 하나로서, 원시시대(原始時代)와 중세(中世) 봉건시대(封建時代) 중간에 위치하는 시대. 세계사(世界史)적으로는 계급(階級)과 국가(国家)가 발생하고, 보편적(普遍的)인 문명(文明)이 만개하던 단계로、그리스(Graecia) ・ 로마(Roma)나 진(秦)・한(漢)이 그 전형(典型)이다.

– 오시리스(Osiris)
이집트(Egypt)의 신(神). 땅의 신(神) 게브(Geb)와 하늘의 신(神) 누트(Nut)의 아들. 여동생에 의해 살해되었으나 소생하여 명부(冥府)의 신이 되었다.

관련 링크
YES24 | Amazon.co.jp | 紀伊國屋書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