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카와이 츠기노스케(河合継之助)

Japan, 維新の嵐 ・ 幕末志士伝(유신의 바람 ・ 바쿠마츠지사전) 河合継之助(카와이 츠기노스케)

번역(翻訳): 방석구

河合継之助(かわい つぎのすけ)
카와이 츠기노스케(河合継之助)

文政10年, 1827 ~ 慶応4年, 1868. 享年42歳.
분세이 10년(文政 10年) ~ 케이오 4년(慶応 4年). 향년 42세.

 長岡藩家老。少年時代から陽明学を信奉し、鶏の血を捧げて「有言実行」の人生を送る、と誓いを立てた奇人は、長岡藩の筆頭家老になってからもやはり異色の人材だった。わずか7万石余に過ぎない長岡藩をして、日本のスイス(=中立国)に仕立て上げ、幕府を倒した官軍と東北諸藩との仲介役を担おうとした。
 나가오카한(長岡藩)의 카로우(家老). 소년시절부터 양명학(陽明学)을 신봉하고, 닭의 피를 올려 「유언실행(有言実行)」의 인생을 보내겠다고 맹세했던 기인(奇人), 나가오카한(長岡藩)의 필두(筆頭) 카로우(家老)가 되었을 때부터도 매우 특색 있는 인재였다. 불과 7만(万) 고쿠(石)에 불과한 나가오카한(長岡藩)을, 일본(日本)의 스위스(Suisse, 중립국)로 만들어, 바쿠후(幕府)를 쓰러트린 관군(官軍)과 동북(東北) 제한(諸藩) 사이의 중개역(仲介役)을 맡으려고 했다. – 호쿠에츠센소우(北越戦争) –

 古賀茶渓、佐久間象山など江戸遊学中には超一流の師につきながら、陽明学に基づく独自の勉強を行い、達人の域といわれた馬術、剣術も自己流だった。要は独創の人で、他人に左右される生き方のできない性質だった。
 에도(江戸) 유학중에는 코가 사케이(古賀茶渓), 사쿠마 쇼잔(佐久間象山) 등 초일류 스승에게 사사(師事)하면서, 양명학(陽明学)에 바탕을 둔 독자적인 공부를 행하고, 달인(達人)의 경지라 일컬어지는 마술(馬術), 검술(剣術)도 독자적이었다. 요(要)는 독창적인 인물로, 타인에게 좌우되는 생활방식을 할 수 없는 성격이었다.

 議会の設置、四民平等などを視野に入れた継之助の国家論は、坂本龍馬と同質の、極めて柔軟で先見性に富むものだった。しかしそれを薩長の作った明治政府内ではなく、長岡藩主導で展開しようとしたところが偏屈であり、継之助らしさでもある。
 의회(議会) 설치(設置), 사민평등(四民平等) 등을 시야에 넣은 츠기노스케(継之助)의 국가론(国家論)은, 사카모토 료마(坂本龍馬)와 동질의 지극히 유연하고 선견성이 풍부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것을 삿쵸(薩長)가 수립한 메이지 정부(明治政府)내에서가 아니라, 나가오카한(長岡藩) 주도하에 전개 하려고 한 점은 편굴(偏屈)하고, 츠기노스케(継之助) 다운 것이기도 했다.

 武士階級の垣根をとっぱらい、全藩を西洋の軍制で統制した偉業は、まさに強引な継之助にしか成し得なかったものだろう。また当時、世界でもごく少数だったガトリング砲を入手し、官軍を散々に苦しめるなど、軍事指揮官としても卓抜した才能を誇った。
 부시(武士) 계급(階級)의 울타리를 걷어치워, 전 한(藩)을 서양(西洋)의 군제(軍制)로 통제(統制)한 위업(偉業)은, 확실히 막무가내인 츠기노스케(継之助) 밖에는 이룩할 수 없는 것일 것이다. 게다가 당시, 세계에서도 극히 소수였던 캐틀링 포(Gatling Gun)를 입수해, 관군(官軍)을 마음껏 유린하는 등, 군사(軍事) 지휘관(指揮官)으로서도 출중(出衆)한 재능을 뽐냈다. – 호쿠에츠센소우(北越戦争) –

주(註): 츠기노스케(継之助)는 호쿠에츠센소우(北越戦争)에서 사망하고 전쟁은 아이즈센소우(会津戦争)로 이어집니다.

용어 설명
– 양명학(陽明学) ようめいがく
중국(中国) 명대(明代)의 왕양명(王陽明)과 그 학파(学派)의 새로운 유교(儒教) 학설(学説). 원(元) ・ 명대(明代)에 관학(官学)으로서 중히 여겨졌던 주자학(朱子学)의 주지주의적(主知主義的) 이상주의적(理想主義的) 경향에 대해서 현실주의적(現実主義的) 비판을 더해, 주체적(主体的) 실천(実践)을 중시했다. 마음(心)이 리(理)이다 라는 심즉리(心即理), 타고난 도덕적(道徳的) 판단력을 발휘하는 것을 치양지(致良知), 인식(認識)과 실천(実践)을 일치(一致)시켜야 한다 라는 지행합일(知行合一), 욕망(欲望)을 긍정(肯定)하는 무선무악(無善無悪) 등을 주요한 학설(学説)로 한다. 왕학(王学).

– 유교(儒教) じゅきょう
인(仁)을 근본으로 하는 정치(政治) ・ 도덕(道德)을 설명한 공자(孔子)를 시조로 하는 중국(中国)의 교설(教説). 유학(儒学)을 가르침.

– 주지주의(主知主義) しゅち-しゅぎ
[Intellectualism] 지성(知性) ・ 이성(理性) 등, 이지적(理知的)인 것을 근본으로 하는 사상적(思想的) 입장. 주지설(主知説).

원문 출처
유신의 바람 ・ 바쿠마츠지사전(維新の嵐 ・ 幕末志士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