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말하는 것은, 사전에 ‘초인적인 능력이나 높은 지위로 사람들을 따르게 만들고 지배해나가는 자질’이라 정의되는 ‘카리스마’가 아니다. <중략>
아무리 작더라도 일단 자기 영지를 얻고 나면 자기보전적인 행동으로 나아가기 십상인 이 남자들(제후)을, 예루살렘 왕국을 위한 전투로 몰아가는 데 성공한 것이다.
나는 이것이 그들 세 사람이 갖고 있는 인간적인 매력 때문이라고 생각한다.이 사람이 한다고 하니 따라가자, 라고 생각하게 만드는 매력 때문이 아닐까. <중략>
용어 설명 Heraldry of the Holy Roman Empire
– 신성로마제국(Holy Roman Empire, Heiliges Römisches Reich Deutscher Nation)
962년, 오토 1세(Otto I)가 로마 교황로부터 대관하고, 1806년 프란츠 2세(Franz Ⅱ)가 나폴레옹(Napoleon)에게 패해 제위를 물러나기까지 지속하였던 독일 제국의 호칭. 11세기를 전성기로 이후 쇠퇴하였다.
Flag of Byzantine Empire
– 비잔티움 제국(Byzantine Empire)
동로마 제국(Eastern Roman Empire). 395년, 동서로 분열(分裂)된 로마 제국(Roman Empire)의 뒤를 이어,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에 수도를 두었던 동방 제국(東方帝国). 고대문화를 계승하고, 6세기를 정점(頂点)으로 독자의 비잔틴 문화(Byzantine culture)를 꽃피웠다. 그리스 정교회(Church of Greece)를 동구(東欧)로 확장시켰지만, 서서히 쇠퇴(衰退)해 1453년 오스만 제국(Ottoman Empire)에 멸망 당했다.
– 셀주크 투르크(Seljuk Turks)
투르크계 이슬람(Islām) 왕조(王朝). 족장(族長) 셀주크 계(Seljuk孫) 투으룰 1세(Tughril)가 1038년에 건국(建国)하여, 중앙아시아 ・ 서남아시아 일대를 영유했다. 문예(文芸)와 잡학(諸学)이 융성했으나, 1157년 이후 내분으로 분열되어 멸망했다.
Flag of Ottoman Empire
– 오스만 제국(Ottoman Empire)
1299년 오스만(Osman)이 건국한 투르크계 이슬람(Islām) 국가. 1453년 메흐메트 2세(Mehmed II)가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을 정복하고 그곳으로 천도(遷都), 16세기 쉴레이만 I세(Suleiman I)때 최성기(最盛期 )에 접어들었고, 영토는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발칸반도(Balkan Pen)까지 이르렀다. 훗날 서서히 쇠퇴(衰退 )하여, 제1차 대전(第一次大戦)에서는 동맹국 측에 섰으나 패했고, 1922년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Mustafa Kemal Atatürk) 혁명에 의해서 멸망(滅亡)했다. 오스만 투르크(Ottoman Turkish).
– 칼리프(caliph)
예언자 무함마드(Muḥammad) – 아라비아(Arabia) – 의 후계자라는 의미로, 이슬람(Islām) – 아라비아(Arabia) – 국가 최고 권위자를 칭한다. 수니파(Sunni Islam)에서는 이슬람 공동체 움마(umma) – 아라비아(Arabia) – 의 합법적인 정치적 지도자를 가리킨다. 13세기 중반 대가 끊겼다.
– 십자군(Crusades)
종군자가 십자(十字) 모양의 기장을 착용했기 때문에 십자군(十字軍)이라고 칭한다. 11세기 말부터 13세기에 걸쳐, 구라파(Europa)의 그리스도(Christo) 교도(教徒)가 결성한 원정군(遠征軍)을 말한다. 성지(聖地) 예루살렘(Jerusalem)을 이슬람(Islām) 교도(教徒)로부터 탈환(奪還)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지만, 봉건사회(封建社会)의 왕성한 대외 발전의 기운이 배경이 되었다. 1095년 클레르몽 공의회(Council of Clermont)에서 우르바노 2세(Pope Urban II)가 제창했다. 그 다음해를 제1차로 원정은 수 차례 – 정확히는 8번 – 계속되었다. 당초 목적은 달성하지 못했지만, 그 영향은 대단해, 교황(教皇)권의 실추(失墜)와 기사(騎士)의 몰락, 이탈리아(Italia) 각 도시의 융성이나 시민계급(市民階級)의 성장, 동방문화(東方文化)의 이입 등을 초래했다.
– 종교 기사단(宗教騎士団)
십자군(Crusades) 시대에 기사도(騎士道) 정신과 수도원(修道院) 정신의 결합을 목적으로 성지 순례의 수호를 주 임무로 결성된 수도회(修道会). 템플 기사단(Knights Templar), 성 요한 기사단(Knights Hospitaller), 튜턴 기사단(Teutonic Knights) 등이 있어, 대 이교도전이나 변방 개척에 활약했다. 기사 수도회(騎士修道会).
Knights Templar
– 템플 기사단(Knights Templar)
중세(中世) 3대 종교 기사단(宗教騎士団)의 하나. 프랑스(France)의 기사(騎士) 위그 드 파앵(Hugues de Payens)에 의해 창립되어, 각지에 성채(城塞)를 구축하는 등 십자군(Crusades)의 주력으로서 활약했다. 또한 단원(団員)의 자산을 기반으로 금융 기관을 운영하고, 프랑스 왕가에도 자금을 원조했으나 필리프 4세(Philip IV of France)의 강합에 의해 1312년 해산되었다.
Knights Hospitaller
– 성 요한 기사단(Knights Hospitaller)
중세(中世) 3대 종교 기사단(宗教騎士団)의 하나. 순례자(巡礼者)의 수호소로서 창립되어, 제2차 십자군(Second Crusade) 시대에 예루살렘(Jerusalem)의 군사 및 구호 활동에 활약했다. 14세기 로도스 섬으로 본거지를 이동 로도스 기사단(Knights of Rhodes), 16세기 몰타 섬으로 이동하여 몰타 기사단(Knights of Malta)이라 칭했다. 1834년 본부를 로마(Roma)로 이전하여 현재도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Teutonic Knights
– 튜턴 기사단(Teutonic Knights)
중세(中世) 3대 종교 기사단(宗教騎士団)의 하나. 제3차 십자군(Third Crusade) 시기에 창설된, 신성로마제국(Holy Roman Empire)군 구호를 위한 병원을 기원으로 한다. 13세기부터 14세기에 걸쳐 신성로마제국 동북부의 식민(植民)과 개종(改宗) 운동을 했다. 프로이센(Preußen) – 독일어 -의 기초를 구축했으나, 차츰 세력이 약화하여 16세기 초반에 해체되었다.
– 크락 데 슈발리에(Crac des Chevaliers)
[기사(騎士)의 성(城)이라는 의미] 시리아(Syria) 북서부에 있는 십자군(Crusades) 시대의 성채(城塞). 11세기에 창건(創建)되어, 12세기에 성 요한 기사단(Knights Hospitaller)의 소유가 되었을 때, 대규모 증 · 개축 공사가 이루어졌다. 내부 회랑을 지탱하는 아치 위에는 다음과 같은 문구가 새겨져 있다.
”네가 유복한 출신이라면 그것은 그것대로 좋다. 네가 지력을 갖고 태어났다면 그것은 그것대로 좋다. 또한 네가 미모를 갖고 태어났다면 그것도 좋다.
하지만 그중 하나라도 원인이 되어 네가 오만하고 건방져진다면 문제는 달라진다. 왜냐하면 오만과, 오만의 표현인 건방짐은 너 한 사람만이 아니라 네가 관계하는 모든 사람을 해치고 더럽히며 비속화하기 때문이다.”
뱀 다리
이 시대에는 여러 국가가 등장하여 혼돈을 야기하는 바 대부분의 고유명사를 영어로 통일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