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Literature

Literature.

시오노 나나미(塩野七生)의 콘스탄티노플 함락(コンスタンティノープルの陥落): 용어 설명

콘스탄티노플 함락(コンスタンティノープルの陥落)

기억에 남는 대사

 황제는 주홍색 망토를 버렸다. 제위를 나타내는 문장도 벗어 던졌다.
 “내 심장에 창을 꽂아줄 기독교도가 한 명도 없단 말인가…”
 누군가는 그가 이렇게 중얼거렸다고도 한다. 동로마제국의 최후의 황제는 검을 뽑아 들고 눈사태처럼 밀려오는 적군 한가운데로 모습을 감췄다. 두 기사가 뒤를 따랐다.

<중략>

 로마제국 최후의 황제는 주홍색 망토를 바람에 나부끼며 백마를 몰아 천공 저편으로 영원히 떠나버렸다.

인물 설명
– 메흐메트 2세(Mehmed II)
 1432-1481. 오스만 제국(Ottoman Empire)의 술탄(Sulṭān), 제위 1451-1481. 1453년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을 점령, 비잔티움 제국(Byzantine Empire)을 멸망시키고, 그곳으로 천도(遷都)했다. 발칸반도(Balkan Pen)까지 영토를 확장, 흑해(黒海)를 제패했다. 정복왕.

용어 설명

Flag of Byzantine Empire

– 비잔티움 제국(Byzantine Empire)
 동로마 제국(Eastern Roman Empire). 395년, 동서로 분열(分裂)된 로마 제국(Roman Empire)의 뒤를 이어,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에 수도를 두었던 동방 제국(東方帝国). 고대문화를 계승하고, 6세기를 정점(頂点)으로 독자의 비잔틴 문화(Byzantine culture)를 꽃피웠다. 그리스 정교회(Church of Greece)를 동구(東欧)로 확장시켰지만, 서서히 쇠퇴(衰退)해 1453년 오스만 제국(Ottoman Empire)에 멸망 당했다.

– 그리스 정교회(Church of Greece)
 동방정교회(Orthodox Church)의 중심이 되는 그리스의 민족교회.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 함락 이후, 1850년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 총주교관하에서 독립하였다. 그리스의 국교.

Flag of Ottoman Empire

– 오스만 제국(Ottoman Empire)
 1299년 오스만(Osman)이 건국한 투르크계 이슬람(Islām) 국가. 1453년 메흐메트 2세(Mehmed II)가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을 정복하고 그곳으로 천도(遷都), 16세기 쉴레이만 I세(Suleiman I)때 최성기(最盛期 )에 접어들었고, 영토는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발칸반도(Balkan Pen)까지 이르렀다. 훗날 서서히 쇠퇴(衰退 )하여, 제1차 대전(第一次大戦)에서는 동맹국 측에 섰으나 패했고, 1922년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Mustafa Kemal Atatürk) 혁명에 의해서 멸망(滅亡)했다. 오스만 투르크(Ottoman Turkish).

– 예니체리(Yeniçeri)
 〔새로운 군대라는 의미〕 오스만 제국(Ottoman Empire)의 상비친위군(常備親衛軍). 유럽 속령의 그리스도(Christo) 교도(教徒) 자제들을 징집하여 이슬람(Islām)으로 개종시켜 편성했다. 14~16세기의 정복 전쟁에서 혁혁한 공훈을 세웠으나, 훗날 타락하여 군벌화(軍閥化)된다. 1826년 폐지(廃止)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