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Literature

Literature.

시오노 나나미(塩野七生)의 로도스 섬 공방전(ロードス島攻防記): 용어 설명

로도스 섬 공방전(ロードス島攻防記)

 ”몰락하는 계급은 언제나 새로 대두되는 계급과 전쟁을 치르고서야 완전히 사라지는 법이다”

인물 설명
– 메흐메트 2세(Mehmed II)
 1432-1481. 오스만 제국(Ottoman Empire)의 술탄(Sulṭān), 제위 1451-1481. 1453년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을 점령, 비잔티움 제국(Byzantine Empire)을 멸망시키고, 그곳으로 천도(遷都)했다. 발칸반도(Balkan Pen)까지 영토를 확장, 흑해(黒海)를 제패했다. 정복왕.

– 쉴레이만 1세(Suleiman Ⅰ)
 1494-1566. 오스만 제국(Ottoman Empire)의 제10대 술탄(Sulṭān). 재위(在位)는 1520-1566. 13회에 걸친 원정을 하여, 아시아 ・ 유럽 ・ 북아프리카에 걸치는 대영토를 이루어 제국의 최전성기를 구축했다. 또한, 법제 ・ 행정 기구를 정비했다.

용어 설명

Flag of Ottoman Empire

– 오스만 제국(Ottoman Empire)
 1299년 오스만(Osman)이 건국한 투르크계 이슬람(Islām) 국가. 1453년 메흐메트 2세(Mehmed II)가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을 정복하고 그곳으로 천도(遷都), 16세기 쉴레이만 I세(Suleiman I)때 최성기(最盛期 )에 접어들었고, 영토는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발칸반도(Balkan Pen)까지 이르렀다. 훗날 서서히 쇠퇴(衰退 )하여, 제1차 대전(第一次大戦)에서는 동맹국 측에 섰으나 패했고, 1922년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Mustafa Kemal Atatürk) 혁명에 의해서 멸망(滅亡)했다. 오스만 투르크(Ottoman Turkish).

– 술탄(sulṭān)
 아리비아(Arabia).〔권력자라는 의미〕수니파(Sunni Islam) 이슬람(Islām) 왕조(王朝) 군주(君主)의 칭호.

– 예니체리(Yeniçeri)
 투르크(Turco).〔새로운 군대라는 의미〕 오스만 제국(Ottoman Empire)의 상비친위군(常備親衛軍). 유럽 속령의 그리스도(Christo) 교도(教徒) 자제들을 징집하여 이슬람(Islām)으로 개종시켜 편성했다. 14~16세기의 정복 전쟁에서 혁혁한 공훈을 세웠으나, 훗날 타락하여 군벌화(軍閥化)된다. 1826년 폐지(廃止)되었다.

Knights Hospitaller

– 성 요한 기사단(Knights Hospitaller)
 중세(中世) 3대 종교 기사단(宗教騎士団)의 하나. 순례자(巡礼者)의 수호소로서 창립되어, 제2차 십자군(Second Crusade) 시대에 예루살렘(Jerusalem)의 군사 및 구호 활동에 활약했다. 14세기 로도스 섬으로 본거지를 이동 로도스 기사단(Knights of Rhodes), 16세기 몰타 섬으로 이동하여 몰타 기사단(Knights of Malta)이라 칭했다. 1834년 본부를 로마(Roma)로 이전하여 현재도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