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Literature

Literature.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의 이기적 유전자(The Selfish Gene): 요약 정리

이기적 유전자(The Selfish Gene)

Chapter 1. 사람은 왜 존재하는가?
 검은머리갈매기, 사마귀, 황제펭귄의 이기적 행동과 일벌, 새의 이타적 행동 등은 종을 위해서가 아닌 개체의 이익을 위해 행동한다. 찰스 다윈(Charles Darwin)의 진화론에 따르면 자연 선택은 최적자의 차별적 생존이다. 그렇다면 최적자의 범위는 어떻게 되는가? 그룹선택설Theory of group selection 에서는 이것을 종 또는 종내 개체군으로 본다. 그러나 선택이 종에 국한한다면 종속과목강문계에서 일어나는 일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여기서는 선택의 단위를 종, 그룹, 개체도 아닌 유전자로 정의하고자 한다(유전자 선택설Theory of gene selection).

 만약 당신이 나처럼 개개인이 공통의 이익을 향하여 관대하게 비이기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사회를 이룩하기를 원한다면 생물학적 본성으로부터 기대할 것은 거의 없다.

Chapter 2. 자기 복제자
 때때로 원자들이 안정된 형태의 분자를 형성하였고, 자가 복제가 가능한 자기 복제자까지 등장하였으나, 복제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파편화된 형태의 변화가 일어났다. 이들은 상호경쟁하며 진화 및 운반자까지 만들어 냈다. 전자를 유전자, 후자가 인간(생명체?)이다.

 다윈의 학설을 납득할 수 있는 것은 단순한 것이 복잡한 것으로 변할 수 있는 방법, 즉 무질서한 원자가 스스로 더 복잡한 패턴을 이루어 인간을 만들어 낸 방법을 보여 주기 때문이다.

Chapter 3. 불멸의 코일(DNA)
 유성생식에는 유전자를 섞어서 붙이는 작용이 있다. 이것은 어떤 개체의 몸도 모두 유전자 하나의 단명한 조합을 위한 하나의 임시적 매체에 불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개체에 머물고 있는 유전자의 조합은 단명하지만, 유전자 자체는 잠재적으로 수명이 매우 길다. 그것들이 밟는 길은 끊임없이 교차하면서 세대에서 세대로 이어진다. 한 개의 유전자는 세대를 거치면서 수많은 개체의 몸을 통하여 살아가는 단위이다.

Chapter 4. 유전자 기계
Dra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