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메로스(Homer)와 철학자들
ㅇ고대 그리스
미노아 문명(Minoan civilization) → 미케네 문명(Mycenaean civilization) → 트로이아 전쟁(Trojan War) → 암흑기 → 상고기 → 고전기
– 미노아 문명: BC3,000~1,100
– 미케네 문명: BC 1,600-1,100
– 암흑기: BC 1,100~750
– 상고기: BC 750~480
– 고전기: BC 480~323
ㅇ고대 그리스 고전기 활동 철학자들
– 소크라테스(Socrates): BC 469~399
– 이소크라테스(Isocrates): BC 436~338
– 플라톤(Plato): BC 428~348
–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BC 384~322
ㅇ철학(Philosophia): 사랑(필로스, Philo) + 지혜(소피아, Sophia)
– 소피아
a.변화하는 인간의 삶에 통하는 시의 적절한 의견(독사, doxa)? → 이소크라테스
b.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진리에 대한 참된 지식(에피스테메, episteme)? → 소크라테스
ㅇ소피아에 대한 생각
– 이소크라테스: 소피스트. 절대적 진리를 거부하고 변화무쌍한 세상을 진정한 실체로 인정하는 것
– 소크라테스: 반소피스트. 독사를 넘어 에피스테메를 추구
ㅇ교육 이념에 대한 생각
– 이소크라테스: 급변하는 세상 속 다양한 문제에 대해 시의 적절한 의견을 냄으로써 해결책을 찾고 공동선(善)을 이루어야 한다.
– 플라톤: 이소크라테스의 교육 이념은 객관적인 진리(에피스테메)와 옳고 그름에 대한 답을 알려주지 않은 채 사람들을 현혹하여 잘못된 길로 이끌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하다.
만약 연설가가 못된 마음을 먹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변론술을 악용한다면 사회는 혼란에 빠질 것이다.
또한, 현실 세계는 감각적이고 변화무쌍하며 생성과 소멸의 세계. 현실을 넘어선 곳에 영원불변한 존재가 있는 이데아(형상)의 세계가 존재. 이데아의 세계를 모방한 것이 현실이다.
ㅇ 호메로스에 대한 생각
– 이소크라테스: 우리는 그의 서사시를 들으며 이방인들에 대한 적대감을 배우며, 군사적 원정을 떠났던 사람들의 탁월함을 부러워하면서 그들과 똑같은 과업을 열망할 수 있게 된다.
이소크라테스는 현재의 이방인인 페르시아를 치기 위해 필리포스 2세(Philip II of Macedon)를 포섭하였으나 암살을 당하고, 그 유지는 아들인 알렉산드로스 3세(Alexander the Great)가 이어받아 그리스를 통합하고 페르시아를 정복한다.
– 플라톤: 아름다운 나라의 교육에서는 호메로스 같은 시인들의 신화는 배제되어야 하고 그런 시인들은 추방되어야 한다. 호메로스의 시에서는 감정을 절제하고 이성적으로 행동하는 대신, 아킬레우스(Achilles)처럼 감정적으로 행동한다.
ㅇ알렉산드로스 대왕
– 스승과 제자
a. 소크라테스 → 플라톤 → 아리스토텔레스 → 알렉산드로스 대왕
b. 이소크라테스 → 아리스토텔레스 → 알렉산드로스 대왕
– 아리스토텔레스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Iliad)』를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가르침